대, 소문자를 바꿔 주는 UPPER, LOWER, INITCAP 함수
UPPER(문자열) : 괄호 안 문자 데이터를 모두 대문자로 변환하여 반환
LOWER(문자열) : 괄호 안 문자 데이터를 모두 소문자로 변환하여 반환
INITCAP(문자열) : 괄호 안 문자 데이터 중 첫 글자는 대문자로, 나머지 문자는 소문자로 변환 후 반환
일반적으로 대, 소문자가 다른 문자열 데이터를 검색할 때 INITCAP함수보다 UPPER나 LOWER함수를 이용한다.
문자열 길이를 구하는 LENGTH함수
특정 문자열의 길이를 구할 때 LENGTH함수를 사용한다. WHERE절에 사용하면 문자열 길이를 비교하여 행을 선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문자열의 데이터 길이가 아닌 바이트 수를 반환하는 LENGTHB함수도 있다. (한글은 3byte로 반환한다)
문자열 일부를 추출하는 SUBSTR함수
문자열 중 일부를 추출할때 사용하는 함수이다
SUBSTR(문자열데이터, 시작위치, 추출길이) : 문자열 데이터의 시작 위치부터 추출 길이만큼 추출한다. 시작 위치가 음수일 경우에는 데이터의 마지막 위치부터 거슬러 올라간 위치에서 시작한다.
추출길이가 없는 경우는 시작 위치부터 문자열 데이터 끝까지 추출한다. 시작 위치가 음수일 경우 마지막 위치부터 거슬러 올라간 위치에서 끝까지 추출한다.
[ -LENGTH(열이름) = 1 ]
문자열 데이터 안에서 특정 문자 위치를 찾는 INSTR함수
문자열 데이터 안에 특정 문자나 문자열이 어디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알고자 할 때 사용하는 함수이다. 네 개의 입력값을 지정할 수 있으며, 원본 문자열 데이터와 데이터 내에서 찾으려는 문자는 반드시 입력해야한다.
INSTR( [대상 문자열 데이터] , [위치를 찾으려는 문자] , [위치 찾기를 시작할 대상 문자열 데이터 위치{기본값=1} ] , [시작 위치에서 찾으려는 문자가 몇 번째인지 지정 {기본값=1}] ) >> 반환값은 첫 문자부터 센 위치이다. LIKE연산자와 유사하다
특정 문자를 다른 문자로 바꾸는 REPLACE 함수
특정 문자열 데이터에 포함된 문자를 다른 문자로 대체할 때 사용하는 함수.
REPLACE( [문자열 데이터 또는 열 이름(필수)] , [찾는 문자(필수)] , [ 대체할 문자(선택) ] ) ; 대체할 문자를 입력하지 않으면 찾는 문자로 지정한 문자는 문자열 데이터에서 삭제된다.
데이터의 빈 공간을 특정 문자로 채우는 LPAD, RPAD 함수
데이터와 자릿수를 지정한 후 데이터 길이가 지정한 자릿수보다 작을 경우에 나머지 공간을 특정 문자로 채우는 함수. 빈 공간에 채울 문자를 지정하지 않으면 빈 공간의 자릿수만큼 공백으로 채운다.
LPAD( [문자열 데이터 또는 열 이름(필수)] , [데이터 자릿수(필수)] , [빈 공간에 채울 문자(선택)]
두 문자열 데이터를 합치는 CONCAT 함수
두개의 문자열 데이터를 하나의 데이터로 연결해 주는 함수. || 연산자를 이용하면 같은 결과가 나온다.
자바에서 print처럼 의 출력을 할 때 || 를 이용해서 내용을 넣어주면 된다.
특정 문자를 지우는 TRIM, LTRIM, RTRIM 함수
문자열 데이터 내에서 특정 문자를 지우기 위해 사용하는 함수이다. 원본 문자열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는 모두 생략할 수 있다. 삭제할 문자가 생략될 경우는 기본적으로 공백을 제거한다.
LTRIM, RTRIM은 각각 왼쪽, 오른쪽의 지정문자를 삭제하는 데 사용한다. TRIM과 마찬가지로 삭제할 문자가 생략된 경우는 공백을 제거하고, TRIM과 달리 삭제할 문자를 여러개로 지정할 수 있다.
RTRIM( [원본 데이터 문자열(필수)] , [삭제할 문자 집합 (선택)] ); 문자 집합에 '<_' 를 입력한 경우 <와 _로 조합가능한 모든 문자가 삭제된다. ( <_ , __ , << , _<)
보통 실무에서의 TRIM은 검색 기준이 되는 데이터에 혹시나 들어있을지도 모르는 양쪽 끝의 공백을 제거할 때 사용한다.
'DATABASE > 오라클 함수 : 데이터 처리와 가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 NULL 처리 함수 (0) | 2024.03.17 |
---|---|
05. 자료형을 변환하는 형 변환 함수 (0) | 2024.03.17 |
04. 날짜 데이터를 다루는 함수 (0) | 2024.03.17 |
03. 숫자 데이터를 연산하고 수치를 조정하는 숫자 함수 (0) | 2024.03.17 |
01. 오라클 함수 (0) | 2024.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