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과 연산자
주어진 식을 계산하여 결과를 얻어내는 과정을 연산이라고 한다.
자바의 연산 종류와 연산자에 대해서 알아보자
- 증감 : ++ , --
- 산술 : + , - , * , / , %
- 시프트 : >> , << , >>>
- 비교 : > , < , >= , <= , == , !=
- 비트 : & , | , ^ , ~
- 논리 : && , || , ! , ^
- 조건 : ( ? : )
- 대입 : = , *= , /= , += , -= , &= , ^= , |= , <<= , >>= , >>>=
산술 연산
수식 계산에 사용하는 산술 연산자는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나머지의 5개다. /는 몫을 구함, %는 나머지를 구한다.
증감 연산
증감 연산자는 ++, --의 두 가지이며, 피 연산자의 앞 또는 뒤에 붙어 값을 1 증가시키거나 1 감소시킨다. 연산자가 변수의 앞에 붙을 때 전위 연산자라고 부르고, 뒤에 붙을 때 후위 연산자라고 부른다. 이 둘은 모두 1 증가시키는 연산을 실행하지만 연산 결과로 반환하는 값은 서로 다르다.
a++ : a를 1 증가하고 증가 전의 값 반환
++a : a를 증가하고 증가한 값 반환
a-- : a를 1 감소하고 감소 전의 값 반환
--a : a를 1 감소하고 감소된 값 반환
대입 연산
대입 연산자는 연산자의 로른쪽 식의 결과를 왼족에 있는 변수에 대입한다.
비교 연산, 논리 연산
비교 연산자는 두 개의 피 연산자를 비교하여 true/false를 논리 결과를 내는 연산자이며, 논리 연산자는 논리 값을 대상으로 AND, OR, XOR, NOT의 논리 연산을 하여 논리 값을 내는 연산자이다.
- 주의 ; 숫자를 비교할때는 == 를 사용하지만 문자열을 비교할때는 .equals() 메소드를 사용해야 하고, 단순 한 문자는 ==를 사용해서도 비교할 수 있다 ( 유니코드 값으로 비교 )
조건 연산
조건 연산자는 세 개의 피 연산자로 구성되어 삼항 연산자 라고도 한다.
condition ? true일때 실행할 값 : false일때 실행할 값 ;
'JAVA > 자바 기본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 조건문 (0) | 2024.04.11 |
---|---|
04. 자바의 키 입력 (0) | 2024.04.08 |
03. 자바의 데이터 타입 (1) | 2024.04.07 |
02. 식별자 (0) | 2024.04.07 |
01. 자바 프로그램의 구조 (1) | 2024.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