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3) 썸네일형 리스트형 01. 테이블에 데이터 추가하기 테이블 생성하기 CREATE문은 오라클의 구성 요소인 오브젝트를 만드는 데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CREATE TABEL (복사할 테이블이름) AS SELECT * FROM (원본 테이블); INSERT문 실습 전 유의점 테이블을 잘못 만들었을때는 DROP TABLE (테이블이름); 실습중에 프로그램을 종료 경우 COMMIT 버튼 누르고 종료하면 된다. 테이블에 데이터를 추가하는 INSERT문 테이블에 데이터를 추가하는 데 사용하는 INSERT문은 다음과 같은 기본 형테로 작성한다. INSERT INTO절 뒤에 데이터를 추가할 테이블 이름을 명시하고, 해당 테이블의 열을 소괄호로 묶어 지정한 후 VALUES절에 지정한 열에 입력할 데이터를 작성한다. INSERT INTO [테이블이름 (열1, 열2, 열3,.. 04. 그룹화와 관련된 함수 ROLLUP, CUBE함수 ROLLUP과 CUBE함수는 그룹화 데이터의 합계를 출력할 때 사용한다. GROUP BY 바로 뒤에 붙여 사용한다. ROLLUP함수는 지정한 열 수에 따라 n+1개의 조합이 출력된다. ROLLUP(A,B) 1. A그룹별 B그룹에 해당하는 결과 출력 2. A그룹에 해당하는 결과 출력 3. 전체 데이터 결과 출력 CUBE함수는 지정한 열 수에 따라 2^n개의 조합이 출력된다. CUBE(A,B) 1. A그룹별 B그룹의 결과 출력 2. A그룹의 결과 3. B그룹의 결과 4. 전체 데이터 결과 CUBE는 특히 지정한 열이 많을수록 출력되는 조합도 많아지므로, 부분적으로 사용하는 Partial Rollup,Cube도 있다. GROUPING SETS함수 같은 수준의 그룹화열이 여러 개일 때.. 03. GROUP BY절에 조건을 줄 때 사용하는 HAVING절 HAVING절은 SELECT문에 GROUP BY절이 존재할 때만 사용할 수 있다. GROUP BY절을 통해 그룹화된 결과 값의 범위를 제한하는 데 사용한다. SELECT문의 실행순서 SELECT------------------------------------ 6 FROM--------------------------------------- 1 INNER JOIN------------------------------- 2 WHERE------------------------------------- 3 GROUP BY--------------------------------- 4 HAVING------------------------------------- 5 ORDER BY------------------.. 02. 결과 값을 원하는 열로 묶어 출력하는 GROUP BY절 여러 데이터에서 의미 있는 하나의 결과를 특정 열 값별로 묶어서 출력할 때 데이터를 '그룹화' 한다고 한다. SELECT문에서는 GROUP BY절을 작성하여 데이터를 그룹화 할 수 있다. WHERE절 뒤에 작성하면 되고, ORDER BY절 앞에 위치한다. GROUP BY절에 명시하는 열은 여러개 지정할 수 있고, 지정한 열로 대그룹을 나누고, 그 다음 지정한 열을 소그룹으로 나눈다. GROUP BY절에는 별칭이 인식되지 않기 때문에, 열 이름이나 연산식을 그대로 지정해 주어야 한다. GROUP BY절을 사용해서 출력 데이터를 그룹화 할 경우 유의할 점 : 다중행 함수를 사용하지 않은 일반 열은 GROUP BY절에 명시하지 않으면 SELECT절에서 사용 불가 01. 하나의 열에 출력 결과를 담는 다중행 함수 그룹 함수 또는 복수행 함수로도 불리는 다중행 함수는 여러행을 바탕으로 하나의 결과 값을 도출해내기 위해 사용하는 함수이다. 합계를 구하는 SUM함수 데이터의 합을 구하는 함수이다. SUM ( [DISTINCT / ALL중 선택] , [합계를 구할 열이나 연산자, 함수를 사용한 데이터] ); 데이터의 개수를 구하는 COUNT함수 COUNT함수에 *를 사용하면 SELECT문의 결과 값으로 나온 행 데이터의 개수 반환 COUNT( [DISTINCT / ALL중 선택] , [개수를 구할 열이나 연산자, 함수를 사용한 데이터] ) ; 데이터에 NULL이 포함될 경우, 반환 개수에서 제외된다. 최댓값과 최솟값을구하는 MAX, MIN함수 날짜 데이터에도 사용할 수 있음을 알아두자 평균 값을 구하는 AVG함수 숫자 .. 07. 상황에 따라 다른 데이터를 반환하는 DECODE함수, CASE문 DECODE함수 기준이 되는 데이터를 먼저 지정한 후 해당 데이터 값에 따라 다른 결과 값을 내보내는 함수이다. if문과 유사하다. DECODE 함수의 맨 마지막 데이터, 즉 조건에 해당하는 값이 없을 때 반환 값을 지정하지 않으면 NULL이 반환된다. CASE문 특정 조건에 따라 반환할 데이터를 설정할 때 사용한다. 각 조건에 사용하는 데이터가 서로 상관없어도 되며, 기준 데이터 값이 같은 데이터 외에 다양한 조건을 사용할 수 있다. CASE WHEN THEN ... WHEN THEN ELSE [ ] END AS (별칭지어주기) 형태로 작성하고, 각 조건식의 true, false여부만 검사하므로 기준 데이터가 없어도 사용할 수 있다. 모두 동일한 자료형의 데이터를 반환해야한다. 06. NULL 처리 함수 NVL함수 NVL( [ NULL인지 여부를 검사할 데이터 또는 열 ] , [ 앞의 데이터가 NULL일 경우 반환할 데이터] ) ; 첫 번째 입력 데이터가 NULL이 아니면 그 데이터를 그대로 반환하고, NULL이면 두 번째 입력 데이터에 지정한 값을 반환한다. NVL2함수 NVL함수와 비슷하지만 NULL이 아닐 때 반환할 데이터를 추가로 지정해 줄 수 있다. NVL2( [NULL인지여부 검사할 데이터 또는 열] , [ NULL일때 반환할 데이터 ] , [NULL이 아닐때 반환할 데이터] ) ; 05. 자료형을 변환하는 형 변환 함수 날짜, 숫자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TO_CHAR함수 주로 날짜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 많이 사용한다. TO_CHAR( [날짜 데이터], [출력을 원하는 문자형태] ) ; 숫자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식은 많이 사용하지는 않는다. ( 9 : 숫자의 자리를 의미(빈자리 채우지 않음) , 0 : 빈자리를 0으로 채움 , L : 지역 화폐단위 기호를 붙여서 출력) 문자 데이터를 숫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TO_NUMBER함수 문자 데이터를 강제로 숫자로 인식시켜 줘야 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TO_NUMBER ( [ 문자열 데이터 ] , [ 인식 될 숫자형태 ] ) ; 문자 데이터를 날짜 데이터로 변환하는 TO_DATE함수 이전 1 ··· 3 4 5 6 7 8 9 10 다음